이재명 표 추가 재난지원금, 국민 60%이상 `반대`…40대·호남·진보층 `찬성` 무게
페이지 정보
작성자 육연차 작성일21-11-09 03:09 조회132회 댓글0건관련링크
본문
한국리서치-KBS 전화면접 설문서 재난지원금 추가 지급 공감 29.3% 비공감 67.9%KSOI-TBS 전화ARS 설문서도 '지급 필요' 32.8% '재정 부담' 60.1% 반대 우세40대·與지지층·진보층·광주/전라서 찬성의견 반대 앞서거나 비교적 높아이재명(가운데)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8일 오전 서울 성동구 패스트파이브 서울숲점에서 열린 스타트업 정책 토크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.국회사진기자단·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이달 초 "1인당 100만원은 해야 한다"며 전(全)국민 재난지원금 추가 지급 추진을 밝힌 데 대해 국민 10명 중 6~7명 꼴로 반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8일 잇따라 발표됐다.여론조사업체 한국리서치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완료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(KBS 의뢰·지난 5~7일·표본오차 95% 신뢰수준에 ±3.1%포인트·면접원에 의한 휴대전화 면접조사 100%·응답률 24.3%·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)를 보면 '전 국민 재난지원금 추가 지급 인식' 설문에서 '공감한다'는 응답은 29.3%에 그친 반면 '공감하지 않는다'는 의견이 67.9%로 2배를 넘었다.응답자 특성 중 연령별로는 모든 연령대에서 '공감하지 않는다'는 의견이 '공감한다'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선 가운데, 40대와 50대에서 전체 평균(29.3%)을 웃도는 공감 응답이 나왔다. 구체적으론 40대 응답자의 40.2%는 공감, 58.7%는 비공감을 택했고 50대는 31.4%가 공감, 66.1%가 비공감했다.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(공감한다 61.7%)과 열린민주당 지지층(75.6%)에서만 추가 재난지원금 공감률이 높았고, 국민의힘 지지층과(공감하지 않는다 93.6%)과 국민의당 지지층(87.4%)은 비공감률이 훨씬 높았다. 정당이 아닌 이념성향별로는 모든 응답층이 비공감률이 높은 가운데 진보층(공감 47.3% vs 비공감 51.3%)에서만 오차범위 내 격차가 났다. 문재인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기준으론 긍정평가층의 56.4%가 공감(비공감 39.8%)했다.지역별로는 광주·전라(공감 55.4% vs 비공감 38.4%)에서만 공감률이 높았고 서울(25.8% vs 72.1%), 인천·경기(31.0% vs 65.8%), 대전·세종·충청(27.5% vs 71.6%), 대구·경북(14.6% vs 83.4%), 부산·울산·경남(23.5% vs 74.6%), 강원·제주(31.4% vs 64.1%) 등 모두에서 비공감률이 압도했다. '경제적 계층 인식'별로 스스로를 상위·중위·하위 계층이라고 인식하는 응답자들도 모두 공감률이 30%를 넘지 못했다.한국사회여론연구소(KSOI)가 TBS 의뢰로 지난 5~6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9명을 대상으로 설문 완료해 8일 발표한 정기여론조사에 포함된 '전국민 재난지원금 추가 지급' 찬성·반대 설문 결과 그래프.KSOI 홈페이지 한국사회여론연구소(KSOI)가 성인 1009명을 대상으로 완료해 같은 날 발표한 KSOI-TBS 제38차 주례조사(TBS 의뢰·지난 5~6일·표본오차 95% 신뢰수준 ±3.1%포인트·휴대전화 ARS 100%·응답률 7.7%)에 포함된 '추가 세수를 이용한 전국민 재난지원금 추가 지급 논의' 현안 설문에서 '내수 진작 위해 지급이 필요하다'는 찬성 응답은 32.8%, '재정에 부담 주므로 하지 말아야 한다'는 반대 응답은 60.1%로 각각 집계됐다.응답자 특성별 추가 재난지원금 찬성 응답은 모든 연령대에서 반대보다 적게 나타났으며, 40대에서만(찬성 46.3% vs 반대 48.6%) 오차범위 내 격차가 났다. 지역별로도 광주·전라(찬성 46.6% vs 48.4%)를 제외한 모든 광역단체별로 반대 응답이 오차범위 밖 우세를 보였다.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(찬성 58.5% vs 반대 35.4%)만이 추가 지급 찬성 여론이 높게 나타났다.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(찬성 67.5% vs 반대 26.6%)·열린민주당(59.5% vs 32.0%)·정의당(58.6% vs 36.2%)에서 찬성률이 높았다. 반면 국민의힘(반대 85.9% vs 찬성 8.3%)·국민의당(87.8% vs 7.0%)의 경우 추가 재난지원금 반대가 찬성을 10배 이상으로 압도했다. 인용된 여론조사 관련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또는 각 여론조사업체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